DNS 서버는 우리가 인터넷 사용하는데 꼭 필요한 서비스이며, DNS 서버는 우리가 인터넷 사용 시 매번 이용하는 곳 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인터넷 상의 모든 기기(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등.)들은 실제로 IP 주소(ex. 192.168.0.1)라는 정형화된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소를 사용하여 서로를 찾고 통신을 합니다.
우리가 어떤 웹사이트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그 웹사이트의 실제 주소인 IP 주소 즉, 숫자를 웹페이지의 주소창에 입력을 하고 방문을 해야 한다면, 우리가 방문하는 많은 웹사이트의 IP 주소인 숫자를 모두 외우거나 메모하여 방문을 해야 할 것 입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example.com과 같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해도 IP 주소를 찾아주고 원하는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일을 하는 서버를 DNS 서버라고 합니다.
1. DNS 서버란 무엇인가?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은 우리가 쉽게 읽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이름(예: www.google.com)을 웹서비스의 실제 주소인 IP 주소(예: 192.168.0.1)로 변환하여 주는 서버를 말합니다.
간단히 우리가 “구글”이라는 사이트에 접속을 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웹페이지의 주소창에 “google.com”이라 입력을 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실제 웹브라우저(크롬, 익스플로러 등.)는 “google.com”의 IP 주소를 찾기 위해 DNS 서버에 문의를 하게 되고 DNS 서버는 “google.com” 의 IP 주소를 반환하여 주고 웹브라우저와 “google.com” 간에 서로 통신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
2. DNS 변경이 필요한 경우
우리가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 DNS 설정을 하지 않아도 우리가 가입한 통신사(KT, SK, LG 등)의 DNS서버를 이용하게 됩니다. 추가로 설정하지 않아도 웹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나 불편함은 없습니다.
그러나 해외에 위치한 웹서비스의 서버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접속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적절한 DNS 서버를 이용함으로 개선 하거나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3. DNS 서버 주소
DNS | 구분 | IPv4 | 비고 |
KT | 기본 보조 | 168.126.63.1 168.126.63.2 | 국내 사용량이 가장 높음 |
SK | 기본 보조 | 210.220.163.82 219.250.36.130 | SK 관련 이용 시 유리함. |
LG U+ | 기본 보조 | 164.124.101.2 203.248.252.2 | LG U+ 관련 이용 시 유리함. |
헬로비전 | 기본 보조 | 180.182.54.1 180.182.54.2 | 헬로비전 관련 이용 시 유리함. |
기본 보조 | 8.8.8.8 8.8.4.4 | 구글 서비스 이용 시 유리함. | |
Cloudflare | 기본 보조 | 1.1.1.1 1.0.0.1 | 반응 속도가 빠름 |
IBM Quad9 | 기본 보조 | 9.9.9.9 149.112.112.112 | 보안 강화에 유리 |
OpenDNS | 기본 보조 | 208.67.222.222 208.67.220.220 | 네트워크 장비로 유명한 시스코 제공 |
4. 내 DNS 서버 확인하는 법

4-1. PC 하단의 검색창에 cmd 입력 후 명령 프로프트 열기

4-2. ipconfig /all 명령어 입력(ipconfig 한칸 띄우고 /all)

4-3. 현재 DNS 서버 168.126.63.1 확인(현재 통신사인 KT의 DNS서버를 이용하고 있음.)
5. DNS 서버 변경하는 법

5-1. 바탕화면 하단의 작업 표시 줄 컴퓨터 모양(네트워크 아이콘)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5-2.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리 클릭

5-3. 네트워크 상태 창에서 어댑터 옵션 변경 선택 클릭

5-4. 이더넷 네크워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속성을 클릭하여 이동

5-5. 이더넷 속성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더블 클릭 후 이동

5-6.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에 체크 후 DNS 서버 주소 입력 후 확인
(여기에서는 기본 설정에 구글 DNS 서버를 입력하였고, 보조DNS서버로 클라우드플레어 DNS 서버를 입력 하였습니다.)
6. 변경된 DNS 서버 확인하기
윗 부분에서 현재 DNS 서버 확인 하기와 같이 윈도우10 하단 검색창에 cmd 입력 후 명령프롬프트 창으로 이동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6-1. 윈도우10 하단 검색창에 cmd 입력 후 명령프롬프트로 이동

6-2. ipconfig /all 명령어 입력

6-3. 위와 같이 변경된 DNS 서버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마무리
이렇게 DNS와 DNS 서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접속이 불가한 웹사이트에 접속을 원하거나 해외 웹사이트 이용 시 로딩이 느리거나 했을 경우 DNS 서버를 변경하여 원활한 접속과 로딩 속도를 개선 할 수 있습니다.
You need to be a part of a contest for one of the greatest websites on the internet. Im going to recommend this site!